리트릿코리아(주)

한국인의 정으로, 세계인의 마음으로

김대영Aug 21, 2025

리트릿코리아에서는 한국의 예술을 세계인들과 함께 나누는 시간을 디자인합니다. 한류에 강한 호감을 갖고 있는 외국인들이 한국을 직접 방문하고, 한국인 아티스트들과 교류하면서 서로 영감을 나눕니다. 각자가 추구하는 비전을 리트릿에서 나누면서 세상을 더 나은 곳으로 만드는 공동의 비전을 세우는 리트릿을 디자인합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한국의 정서를 작품에 창의적으로 담은 작가들을 소개합니다. 또한, 리트릿코리아(주)에서 마련하는 다양한 온라인 채널(유튜브 라이브 방송, 줌 미팅 등)에서 리트릿코리아(주)의 회원들도 이 대화에 초대받습니다.

오늘은 한국 민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K-컬처의 본질을 탐구하고 있는 창작 민화가 이시연 작가의 작품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민화의 성격과 한국 예술의 바탕>

이시연 작가는 전통 민화를 바탕으로 새로운 이야기를 창조하는 창작 민화 작가입니다. 작업실은 서울 문래 창작촌에 있어요. 갤러리의 위치에 대해서 묻자 이 작가님은 *문래(文來)*라는 지명은 과거 문익점 선생이 목화씨를 들여오며 지나갔다고 전해지는 역사가 얽혀 있습니다.”라고 소개해 주었어요.

그리고, 이 뿌리에 영감을 받고, 자신 또한 민화를 통해 한국을 넘어 세계 무대로 나가는 꿈을 꾼다고 “시연갤러리”의 존재에 가치를 부여하고 있었어요.

민화가 이시연의 작품 〈나폴레옹 & K-Culture〉

그 대표적인 성과 중 하나가 바로 *〈나폴레옹 & K-Culture〉*라는 작품입니다. 2024년 6월, 프랑스 파리의 리옹 시립 미술관에서 전시된 이 작품은, 한복 치마로 ‘담아내는’ 풍성함과 한국인의 관계 맺음을 프랑스 와인병에 담아낸 시도였습니다. 여러분, 이 조화로움이 어떻게 느껴지나요?

병의 뚜껑에는 나폴레옹의 모자를 올렸고, 병을 둘러싸고 우리네 한복 치마의 주름이 포도주 병의 몸체를 부드럽게 감싸고 있어요. 허리 부분은 프랑스 국기의 색으로 장식했고, 치마 아래쪽에는 오방색을 은은하게 넣어 한국적 미감을 표현했습니다. 이 한복 입은 포도주의 배경으로 햇살 아래 무르익은 포도밭이 그려져서, 와인의 풍요로움과 동시에 한국에서 포도가 상징하는 다산의 의미를 함께 담아냈습니다.

📢
여기서 퀴즈!

이 “포도밭”은 프랑스의 포도밭일까요? 한국의 포도밭일까요?

정답은?

이시연 민화가님과 리트릿코리아(주)의 탄탄 코치가 나눈 유튜브 녹화본에 있어요.

인구 감소 시대에 더 많은 아이가 태어나기를 바라는 염원을 담아, 국제 관계 속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담아내는 풍성한 마음. 바로 이것이 작가가 한복 치마로 상징한 ‘배려’의 철학입니다.

작가가 생각하는 K-컬처의 본질은 무엇인지 질문했어요.

📢
이시연 작가는 한국 문화를 ‘관계 맺음’의 문화라고 말합니다.

서양이 개인의 자율성을 중시한다면, 한국은 상대의 이야기를 들어주고 이해하며 함께 어우러지는 힘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속에서 자연스럽게 배려가 태어나죠.”

이시연 작가는 “동서양이 서로 다른 듯 보이지만 결국 인간의 본성은 같다”는 점을 예술로 풀어내고 있습니다.

작품 〈나폴레옹 & K-Culture〉는 단순히 하나의 그림이 아니라, 한국 민화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살아 숨 쉬며 세계와 연결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예술 속에 담긴 이 깊은 메시지를 통해, 한국 문화의 본질을 새롭게 느껴보시길 바랍니다.

이시연 민화가님은 프랑스 와인에게 한복을 입히고 난 뒤, 우리 한국의 막걸리에도 한복을 입히고 싶었다고 해요. 그래서 이어서 민화 작품으로 국제교류

이 두 작품은 지난 8월 영등포 타임스퀘어에서 나란히 전시가 되었습니다. 프랑스 와인과 한국의 막걸리가 나란히 한복을 입은 창작 민화 전시회를 담은 이웃의 포스팅도 소개합니다.

Embedded content

이시연 작가님의 향후 전시는?

9월에는 인사아트에서, 이어서 12월까지 다양한 전시를 준비하고 있다고 해요. 블로그로 미리 공유할께요. 또, 멀리 있는 분들을 위해 인스타그램을 소개합니다.

이시연 민화가님의 인스타그램

Login • Instagram

Welcome back to Instagram. Sign in to check out what your friends, family & interests have been capturing & sharing around the world.

서울 문래동에 가면 “시연갤러리”가 있고, 이시연 작가님은 이 곳을 “사랑방이예요, 언제든 편하게 들려 주세요”라고 인사를 건넨답니다. “문래”라는 이름이 생기게 된 스토리, 여러분, 흥미로웠나요? 이시연 작가님을 만나게 된 스토리도 정말 “우연”이라고만 생각했었는데 지금 생각하면, Synchronicity 공시성이라 여겨져요. 이 이야기는 오래 전에 다음의 글에 담아 두었어요.

이시연 민화가님의 갤러리 방문기

Embedded content

아트로 나 자신을 탐험하는 리트릿에 관심이 있나요?

여러분은 최근에 어떤 전시회를 갔나요? 그곳에서 만난 작품들 중에서 영감을 준 것은 어떤 것인가요?

예술은 우리 두뇌가 창의적으로 작동하고, 새로운 시선으로 삶을 바라보게 합니다.

리트릿코리아(주)에서 아트를 즐기며, 영감도 얻는 리트릿을 경험해 보세요.

예술을 일정에 넣는 이유?

현대 사회에서 스트레스와 불안, 우울은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닙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예술 활동이 이러한 정신적 어려움을 덜어주고, **웰빙(well-being)**을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 이번 포스팅에서 소개합니다.시작하면서 강조하고 싶은 팩트는 이 내용은 과학적으로도 증명된 사실이라는 거예요. 심리학과 신경과학을 비롯한 다양한 분야의 연구들이 예술의 정신 건강 효과를 다방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