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트릿코리아(주)

아시아인들의 강점과 잠재 기회

김대영Aug 26, 2025

2011년부터 시작된 State of the Heart 보고서는 감성지능(EQ)이 개인과 사회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추적해온 세계적 연구 프로젝트입니다. 이 보고서는 Six Seconds라는 글로벌 비영리 단체가 SEI(감성지능 평가) 도구를 활용해 수집한 가장 방대한 글로벌 EQ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합니다.

📢
매년 전 세계 169개국 수 십만 명의 균형 잡힌 표본 데이터를 분석하며 EQ가 웰빙, 인간관계, 삶의 질 등 다양한 성공 요인과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탐구해왔습니다. 2024년 보고서는 엄격한 무작위 표본 추출과 강화된 분석 방법으로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종단 데이터를 독점적으로 활용해 신뢰도를 높였습니다. 이 연구는 조직과 리더십뿐 아니라 개인의 정서 역량 강화를 위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State of the Heart는 감정지능이 단순한 심리 지표가 아닌, 우리 삶과 업무 방식 전반을 발전시키는 핵심 열쇠임을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적 기록이자, 더 나은 미래를 향한 로드맵입니다.

📢
2019년부터 2023년까지의 데이터를 종합한 결과, 아시아 지역은 감성지능(EQ) 평균 점수에서 전 세계에서 7위로 가장 아래에 위치했습니다. 특히 모든 EQ 역량 점수가 100점 미만으로 나타났다는 점은, 개인 차원뿐 아니라 조직 차원에서도 감정 역량 개발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음을 시사합니다.

아시아 EQ의 강점: 결과적 사고 (Apply Consequential Thinking)

아시아인들의 가장 두드러진 강점은 결과적 사고 역량입니다. 이는 행동의 결과를 사전에 평가하고, 잠재적 위험을 인식하는 능력으로 설명됩니다. 문화적으로 리스크 관리에 무게를 두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의사 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신중함과 실리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잘 드러납니다. HR 관점에서 이는 리스크 회피적 성향을 활용해 안정적 조직 운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됩니다.

도전 과제: 내재적 동기 부여 (Engage Intrinsic Motivation)

반면 가장 큰 약점은 내재적 동기 부여에서 드러납니다. 즉, 외부 보상이나 압력보다는 개인의 내적 가치와 의미를 원동력으로 삼는 힘이 부족한 것입니다. 이는 직원 몰입(engagement)과 직무 만족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장기적인 성과 창출에서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HR 리더들은 성과관리 제도나 리더십 코칭을 내재적 동기 자극 중심으로 재설계할 필요가 있습니다.

상위 뇌 재능: 아시아의 잠재적 자산

  • 성찰(Reflection): 일시적으로 멈추고 경험을 돌아보며 더 명확한 판단을 내림
  • 적응력(Adaptability): 환경 변화에 시각을 전환하며 유연하게 대처함
  • 우선순위 설정(Prioritizing): 복잡한 상황에서 중요한 것을 식별하는 능력

📢
이러한 능력은 변화 속도가 빠른 아시아의 비즈니스 환경에서 효율적 리더십과 전략적 사고의 기반이 됩니다. HR 부서는 이 재능을 활용하여 변화 관리(Change Management)와 전략적 HR 기획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하위 뇌 재능: 개발이 시급한 영역

  • 회복탄력성(Resilience): 역경 극복과 지속성 부족
  • 상상력(Imagination): 혁신과 창의성 발휘의 제약
  • 헌신(Commitment): 내면적 가치와 장기적 비전의 연결 약함

이는 특히 혁신과 몰입, 장기적 성장이라는 키워드와 맞닿아 있습니다. 아시아 조직들은 업무 강도와 외부 압력은 높지만, 직원 개인이 스스로 의미와 동기를 찾아 몰입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은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
HR 전문가를 위한 시사점
  1. 내재적 동기를 자극하는 리더십 교육: 단순 보상 관리가 아닌, 직원이 '왜 이 일을 하는가'를 찾게 돕는 코칭 중심의 리더십 훈련 필요.
  1. 회복탄력성 및 웰빙 프로그램 강화: 번아웃, 과로, 장시간 노동 관행이 여전히 존재하는 만큼 HR의 중심 과제는 회복탄력성 강화.
  1. 혁신 문화 조성: 안전한 실험 환경을 만들어 상상력과 창의성을 촉진.
  1. 조직의 의미 연결: 개인 가치와 조직 비전을 연결하는 ‘목적 기반 HR 전략(Purpose-driven HR)’ 설계.

결론

아시아는 신중한 사고력과 전략적 적응력을 강점으로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내재적 동기 부족, 낮은 회복탄력성, 약한 헌신이 조직의 지속 성과를 가로막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HR 전문가들은 “성과 중심 관리에서 사람 중심 관리로” 전환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는 단순한 역량 강화 프로그램이 아니라, 조직 문화 전반의 패러다임 변화로 이어져야 합니다.